top of page

잠언 6 장 2 절: 네 입의 말로 네가 얽혔으며, 네 입의 말로 인하여 잡히게 되었느니라.

장진택ㅣ큐레이터

A. 언젠가는 믿어왔던 세계가 무너지는 순간이 있다. 결코 그 순간이 자신에게 도래하기를 단연코 원치 않았을 것임에도, 누군가의 성배는 그토록 급작스럽게 스러져 버린다. 그러나 더 안타까운 현실은 우리는 세상으로부터 이미 쌓아 올려진 성배를 우러를 것만을 배웠을 뿐, 그것이 파괴되어 버린 그때에 대해서는 어떤 준비도 할 수 없는 무기력한 상황에 기인한다. 성배는 반드시 신성해야 하고, 거룩해야 하며, 또한 고귀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성스러운 우리의 기도는 언제나 아래에서 위로 상향하도록 교화받았으므로, 그 뜻을 조금이라도 부정하거나 돌이키는 일은 반드시 없었어야 했다. 성(聖)과 속(俗)의 그 지리하고 멸렬한 대치 속에서, 인간은 아마도 축복이라는 대칭의 지렛대에 기대어 결코 성현(hierophany)하지 못할 본성을 무던하게도 그저 기다릴 밖에는 다른 방도가 없었다. 제단 위에서 그토록 단정하던 그 부동의 성배가 눈앞에 추락했다. 도대체 누가, 그리고 왜 그것을 넘어뜨린 것일까.

B. 이동혁의 작업에서 종교의 소재는 꾸준하게 그 서사의 중심에 있었다. 그것은 작가에게 당연한 삶이었으며, 곧 믿음이었고, 그렇게 현시하는 세계였다. 신화와 역사의 사이, 그 어딘가 즈음에서 종교는 일으켜졌다. 그 특정한 시공 가운데서 작가는 어느 한쪽을 긍정하지도 부정하지도 않은 채, 단지 물끄러미 저들을 바라본다. 일인칭도, 그렇다고 완전한 삼인칭의 주체로도 편승하거나 이탈하지 못하는 이동혁의 자리는 종교와 사회 그리고 제도와 정체성 사이의 약속된 관계를 사실상 무색하게 만든다. 그러한 작가의 태도는 원초적이고 본능적인 인간의 의미와 가치를 재고하는 것으로부터 출현하며, 그가 품어낸 미약한 의심의 발아는 점차 큰 파열의 혼돈을 초래했다. 이렇듯 모든 것을 원점에서 다시 시작할 수밖에 없는 지금, 너무나도 충만한 빛을 따르다 어둠 속에 자신을 가두어 버린 존재들은 궁극적으로 처음과 같이 이제와 항상 영원히 그곳에 있었던 그분을 마주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그를 찾는 구원의 형식과 그 과정에 매몰되었던 너와 나를 비로소 올바르게 구조하고 인도하는 우리의 역사(役事)와 크게 다르지 않을 테다.

 

C. 이동혁의 도상들은 불편하며, 그 불편한 도상들은 역설적인 서사를 낳는다. 무엇인가 불편하다는 것은 상대적인 감정이고, 역설이라는 것은 무엇인가 비교적 모순하거나 일리 없음을 방증한다. 이처럼 이동혁의 도상이나 그것이 이루는 서사와 정면으로 배치하는 그곳에는 일종의 이상향이 존재할 것이다. 그리고 그에 도달해 가려는 의지는 도리어 이로부터 그곳을 멀어지게 만들 수도 있다. 바로 제 이상향을 향한 바람은 이동혁의 회화에서 몸짓으로 나타난다. 영원성을 상징하는 원의 형상을 온몸으로 그림으로써, 그 창을 넘어 인간은 신성한 아브라함의 품에 안기고자 한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인간은 쉬이 중력의 힘을 거스르지 못하는 것인지 혹은 모두가 막상 그날이 올 것을 내심 원치 못하는 것인지, 천상으로 나아가는 길을 만드는 가운데 외려 그들은 서로가 서로를 당기고 매듭지으며 주저앉기를 택한다. 심지어 어두운 이 지상의 땅 위에 두 다리를 뿌리내린 채 우연과 필연을 탓하기도 한다. 그 와중에 맑고 푸르렀던 하늘은 붉고 어둑해져 버렸던 것이다. 인간의 기도와 행위는 벗어나려는 동시에 벗어나지 않으려 한다.

 

D. 세상은 마르고 거칠어졌다. 이 모든 것이 바다 위에 배를 띄워 그분께 나아가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하늘에 있는 그분을 가까이 둘수록 작열하는 태양은 우리를 나아갈 수 있게 할 유일한 통로요, 창인 바다를 말려버렸다. 우리는 그때 잠시 멈추어야만 했다. 아무리 그것이 진실하고 선할지라도, 그리고 그것이 항상 부족하거나 모자라지 않아야 했을지라도 말이다. 누군가는 계속해서 이들을 몰아쳤을 것이다. 그 선택과 의지는 여전히 강하고 변함없었을 테지만 절대로 그것이 그 개인과 주체를 희생할 것을 강요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혹여나 그것이 기도하는 나를 이카로스(Icarus)로 만들고자 한다면, 그 주체는 당장에라도 기도를 멈추고 자신을 돌아보아야 한다. 소금은 내가 필요로 하는 무엇이어야 하는 것이지, 내가 소금이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나를 견고히 지탱해 주어야 하는 것이 바위이지, 내가 바위가 되기를 원하는 무엇은 의심해야 한다. 서로를 격려하고 의지할지라도 그것은 언제든 지나쳐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달하고, 성취하며, 깨닫는 것은 분명 어렵고, 힘들며, 때로는 고통스럽기까지 한 것임은 당연함에도 불구하고.

 

E. 때로는 요란한 망치질과 분란한 외침보다 차분한 응시와 고요한 침묵이 바위를 깨뜨릴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견고한 제도와 신실한 믿음의 증명, 그 구애(拘礙)를 넘어선 찰나의 체험이 실로 참된 깨달음에 우리를 도달할 수 있게 함을 우리는 알고 있지 않았던가. 본디 어지러움을 잠재우고자 성찰은 수행되어 왔다. 이동혁의 전시 《침묵이 바위를 깰 때》는 무엇을 채우려는 노력이 역설적으로 모든 것을 비워 내버린 그 자박적이고 당착적인 어려움과 불편함을 상기한다. 창제의 근원을 향해 정진하는 신념은 어느 순간 그것을 가려버린 장막이 되었다. 실체는 멀어졌지만, 다시금 다가가야 한다. 비록 바래어지고, 거칠어졌으며, 굽어지거나, 얽혀버렸을지언정, 여전히 우리가 나아가야 한다는 진리는 변함이 없을 것을 그는 일깨운다. 시련은 언제 어디서든 우리를 괴롭혀왔다. 다만, 그 헤침의 가능성은 바로 나와 너 그리고 우리 스스로를 진정으로 돌아볼 때야 임할 수 있다는 영원의 교훈을 잊지 않기를 이동혁은 진실로 바라고 있는 것은 아닐까.

Proverbs 6:2 You have been trapped by what you said, ensnared by the words of your mouth.

Jang Jintaeg | Curator 

.

A. There’s a moment when the world one believes in collapses. Although no one would ever want such moment to happen, someone’s Holy Grail topples over suddenly as such. But an even more unfortunate reality lies in the fact that we’ve only learned to revere the Holy Grail that’s been held up high by the world, and helplessly collapse when it is destroyed, unprepared to do anything, because the Holy Grail must be holy, sacred, and noble. As our holy prayers have always been edified to be raised from bottom up, this should never be denied or reversed. In the tedious and incoherent confrontation of the sacred and profane, humans had no choice but to generously wait for the human nature that would never be a hierophany, relying on the symmetry of blessing. The unchanging Holy Grail, placed so neatly on the altar, fell in front of the eyes. Who on earth would have knocked it over, and why?

B. The subject of religion has consistently been in the center of the narrative of Lee’s work. It was only natural for the artist, as it was his faith and the world of his expression. Religion was raised, somewhere in between myth and history. Neither affirming nor denying any side in the specific time and space, the artist looks vacantly at them. The position of the artist, who cannot take on nor escape the first-person perspective nor third-person perspective, practically overshadows the promised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and institution and identity. This attitude of the artist comes from thinking about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rimitive and instinctive human beings, and the germination of the subtle doubts the artist harbored gradually led to the chaos of a major rupture. Now that we have no choice but to restart everything from scratch, beings who have locked themselves in the dark after following the full light can finally come face to face with Him who has always been there from the beginning and is there now and forever. This probably isn’t too much different from our history which redeemed and guided you and I who were buried in the form of redemption in search of Him, and the process of looking for such salvation.

C. There’s something uncomfortable about Lee’s icons, and these uncanny icons produce paradoxical narratives. A sense of uneasiness is a relative emotion, and paradox proves that something is comparatively contradictory or unreasonable. There should be a kind of utopia where it contradicts directly with Lee’s images of their narratives. And the will to get there may actually lead us away from it. The longing for the utopia becomes manifest in Lee’s painting as gestures. By painting the form of the circle, the symbol of eternity, through one’s whole body, humans aspire to transcend the window and fall in the arms of holy Abraham. But whether humans can't easily resist the power of gravity or no one really wants the day to come, they unfortunately choose to pull each other down in clots and collapse while making their way to heaven. They even root down their two legs on the dark surface of this earth and blame coincidence and inevitability. In the meantime, the clear blue sky became crimson and dark. The human prayers and actions attempt to free oneself, while at the same time, they do not.

D. The world became dry and rough. It was so, all in order to put a boat on the sea and go near Him. However, the sun that scorched even more the closer we got

to Him in heaven was our only channel through which we could advance, and it dried up the ocean, a window. We should’ve stopped there for a moment, no matter how genuine and good it is, and despite the fact that it should never be insufficient or not enough. Someone would’ve continuously drove them on. The decision and will should’ve still been strong and unconditional, but it should never demand that the individual and subject be sacrificed. If by chance it tries to turn the praying self into Icarus, the subject should stop praying right away and reflect on itself. Salt should be something that I need; I should not become the salt itself. What strongly supports me should be the rock; I should be skeptical of anything that wishes for me to be the rock. Although we must encourage each other and rely on each other, it should never be missed, despite the fact that reaching something, accomplishing it and realizing it is definitely difficult, tough and at times even painful.

E. Sometimes calm gaze and quite silence can shatter a rock rather than bustling hammering and chaotic cries. But weren’t we aware of the fact that the solid system, the proof of devoted faith, and the momentary experience beyond the restrictions allowed us to reach the true enlightenment? Reflection has been carried out to quell the original vertigo. Lee Dong-hyuk's exhibition When Silence Breaks the Rock recalls the contradictory difficulties and uneasiness in the paradoxical efforts to fill something up ultimately leading to emptying it all out. The conviction toward the source of creation all of a sudden became a curtain that veiled it. Reality has distanced, but it must be approached again. Although faded, rough, bent, or tangled up, Lee reminds us of the truth that the fact that we must move forward remains unchanged and unconditional. Trials have plagued us anytime, anywhere. However, perhaps what Lee hopes for us to never forget is the immortal lesson that it’s only possible to triumph through it all when we truly look upon each other and ourselves.

Translated by  Sunhye Hwang

LEE DONG HYUK

bottom of page